목록네트워크 (6)
호빗의 인간세상 탐험기
1. static entry 추가 후 동작 실습⦁ arp 명령을 이용하여 arp cache에 static entry를 추가하고 해당 IP로 ping을 수행- 명령어 예제 : C:>arp –s 192.168.0.1 00-16-EC-AD-B1-1F ① rp –d명령어를 실행하여 기존에 있던 ARP 테이블안의 List들을 모두 삭제 한 후 직접 arp /s 192.168.0.1 00-16-ec-ad-b1-1f 명령어를 사용하여 직접 ip주소와 Ethernet address를 연결하여 ARP 테이블 안에 저장하였다.(arp /s 명령어는 사용자가 직접 ip주소와 Ethernet address를 입력하여 ARP테이블안에 저장시키는 기능을 하는 명령어이다.) ② - 그 후 ping 명령어를 이용하여 192.168...
1.ARP, RARP, InvARP, Gratuitous ARP① ARP : ARP란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서 ip는 알지만 Ethernet address를 모를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ip를 가지고 Ethernet address를 찾아내는 방법이다. ARP의 동장 원리는 내부 네트워크에서는 알아내고자 하는 ip의 MAC address를 ARP 패킷에 실어 broadcast망으로 모든 host에 대하여 송신한다. 수신 받은 host들이 이 패킷을 확인 하여 자신의 ip인지 아닌지 확인히 자신의 ip가 아니면 이 ARP 패킷은 버리게 되고 자신의 ip이면 ARP 패킷에 자신의 MAC address를 실어 송신자에게 송신한다. ip를 알아내고자 ARP 패킷을 만들어 broa..
1. DIX 2.0/IEEE802.3 frame preamble (8byte) destination address (6byte) source address (6byte) ether type (2byte) Data Pad FCS (4Byte) - DIX2.0 frame 형식을 나타낸 것이다. preamble은 8byte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작점을 나타낸다. - destination address~ether type 까지를 Ethernet Header 라고 부른다. destination address 에는 6byte의 목적지 주소가 들어 있다. source address에는 6byte의 송신측 주소가 들어 있다. 그리고 ether type은 2byte로 0x600(=1536)이상의 값이 저장되어 있다. - ..
1. 패킷필터링이란? (역할과 목적) 패킷 필터링이란 지나가는 패킷의 Header를 살펴보고 그 전체 패킷의 운명을 결정하는 소프트웨어의 일부이다. 이것은 패킷을 ‘DROP(즉, 마치 전혀 전달되지도 않았던 것처럼 패킷을 거부)’하던가, ‘ACCEPT(즉, 패킷이 지나가도록 내버려둠)’를 하던가 또는 다른 더욱 복잡한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주요 사용 목적은 패킷의 제어와 보안이다. 패킷을 제어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것만을 외부 네트워크에 공개할 수 있고 또 자신이 허용하는 것만을 내부 네트워크 사용자에게 전해줄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허가되지 않은 정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외부에서 내부로 크래킹을 시도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2. 사용하기 위해서 준비해야 ..
#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통신은 먼저 소식을 특정한 매체를 이용하여 정보 및 의사를 전달하는 것이다. 사람의 대화만 하더라도 그렇다. 한국에서는 한국말, 영어권을 쓰는 나라에서는 영어가 커뮤니케이션이 되듯이,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도 상호간의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소통되는 기준을 들어서 사용한다. 최초에는 의사 전달의 수단으로 손짓 발짓 또는 그림 및 문자를 통해 자기의사를 전달했다면, 이후 후대로 갈수록 장소를 달리하는 곳에서의 다수 사람들에게 내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특정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하고자 했다. 수단을 통신이라고 하는데, 전달기능을 갖춘 서비스 행위의 한 부분이다. 예를 들자면 넓은 의미로는 방송이나 신문과같이 특정다수에게 전달하는 메세지 일수도 있고, 좁은의미로는..
정의 [廣義]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나 구조 [狹義] 컴퓨터 또는 컴퓨팅 기능을 가진 사물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의미하며 정보 전달을 강조하여 “Data Network”이라고도 하고, 사물간의 연결을 강조하여 “Ubiquitous Network”이란 표현도 있음 관련 용어 노드(Node)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컴퓨터 또는 컴퓨팅 기능을 가진 사물 : 서버, 허브, 스위치, 라우터 등등 회선(Line 또는 Link)네트워크 상에서 노드들을 연결하는 물리적인 선 또는 논리적인 연결 데이터 통신(Data Communication)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 또는 컴퓨팅 기능을 가진 사물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는 것으로 “컴퓨터 통신”이라고도 함 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