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빗의 인간세상 탐험기
switch, VLAN 본문
Switch
- Switch는 Layer 2 Switch와 Multi Layer Switch로 구분된다.
- CCNA시간은 Layer 2 Switch. (Data-Link 계층) - Layer 2 Switch는 포트별로 Collision domain을 나눈다. 하지만 하나의 Broadcast Domain에 속해있다.
- Router와 차이점 1) Router는 CPU-base (policy-base) Switch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칩 기반이다. 2) Router는 Routing table, ARP-table을 확인 (IP address) Switch는 MAC address table을 확인 (MAC address) 3) Router는 자신이 모르는 목적지를 가진 packet과 Broadcast를 Drop. Switch는 자신이 모르는 목적지를 가진 frame과 Broadcast를 Flooding.
- Switch의 전송 방식 1) Store and Forward Frame을 전부 확인하고 다음 처리를 시작하는 방식. 목적지 주소, 출발지 주소, 에러발생여부를 확인하고 처리한다. error가 발생하면 Frame을 폐기. 하지만 다른 방식에 비해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2) Cut-through 수신되는 Frame의 목적지 주소만 본 다음 바로 전송을 하는 방식. 처음 6 byte만 보고 전송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지만 에러 복구 능력에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3) Fragment-Free 위의 두 가지 방식을 결합한 방식, 처음 64 byte를 보고 전송하는 방식이다. Store and Forward 보다는 빠르고 Cut-through보다는 에러 감지 능력이 좋다고 볼 수 있다. (주로 64byte 쯤에서 에러가 많이 발생한다.)
Transparent Bridging
<Transparent Bridging> - Ethernet Switch가 Frame을 수신하여 목적지로 전송하는 방식과 절차를 정의.
- 즉, Switch가 수신한 Ethernet Frame을 참조하여 MAC address table을 생성 및 갱신하고 목적지로 전송할 때 사용하는 Protocol이 Transparent Bridging. - Transparent(투명한)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의식하지 못하게 자동으로 동작한다.’ 는 의미.
- RSTP와 더불어 IEEE 802.1Q를 구성하며, 이 두가지가 Layer 2 Switching의 핵심 구성요소.
- Learning, Flooding, Forwarding, Filtering, Aging 과정이 모두 합쳐져 Transparent bridging기능을 수행.
- Routing table은 관리자가 설정으로 생성하지만 MAC address table은 Switch가 자동 생성한다.
1) Learning, Flooding
• Station A sends a frame to Station C
• Switch caches station A MAC address to port E0 by learning the
source address of data frames
• The frame from station A to station C is flooded out to all ports
except port E0 (unknown unicasts are flooded)
• Station D sends a frame to station C
• Switch caches station D MAC address to port E3 by learning the source
Address of data frames
• The frame from station D to station C is flooded out to all ports except
port E3 (unknown unicasts are flooded)
• Station A sends a frame to station C
• Destination is known, frame is not flooded
• Station D sends a broadcast or multicast frame
• Broadcast and multicast frames are flooded to all ports
other than the originating port
VLAN
- Switch와 연결된 모든 장비들은 하나의 Broadcast Domain에 포함
- 연결된 장비가 많아질 수록 Broadcast의 발생이 많아지기 때문에 Router를 사용해 물리적으로 Network 영역을 구분.
- 하지만 Router를 사용해 물리적으로 Network 영역을 구분하는 대신 VLAN 기술을 사용하면 논리적으로 Network (즉, Broadcast Domain)를 나눌 수 있다.
- 즉, 하나의 Switch에 연결된 장비들의 Network(Broadcast Domain)를 나눌 수 있다. VLAN은 포트별로 구분한다. VLAN_A Fa0/1, Fa0/2 VLAN_B Fa0/3, Fa0/4 VLAN_C Fa0/5, Fa0/6 * VLAN 설정을 하기 전에 모든 포트들은 default VLAN인 VLAN 1에 속해 있다.
- 서로 다른 VLAN에 속한 장비들은 Router 혹은 L3 Switch 같은 Layer 3 장비를 통해야만 서로 통신이 가능.
<VLAN의 장점>
- VLAN을 사용하면 Network의 보안성 강화된다. 장비들이 동일한 VLAN에 속했을 경우 통신 내용을 훔쳐보는 것이 매우 쉽다. 장비들을 서로 다른 VLAN으로 구분했을 경우 Router를 통해야만 통신이 이뤄지기 때문에 Router에 다양한 보안 정책을 적용해서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 VLAN을 사용하면 Switch Network에서 Load balancing이 가능. VLAN을 사용하지 않으면 STP에 의해서 이중화 된 구간 중 한 Port가 차단되고 하나의 경로로만 통신이 이뤄진다. VLAN을 사용할 경우 이중화 된 구간의 경로별로 VLAN을 구분하면 Load balancing이 가능.
<VLAN의 번호>
- VLAN은 서로 번호(ID)로 구분.
- 사용 가능한 VLAN 번호는 1 ~ 4094
<VLAN 생성> 1) Config-VLAN * VLAN 삭제는 'no vlan' 명령어로 삭제한다. 2) VLAN Database에서 생성 SW#vlan database SW(vlan)#vlan 20 name VLAN_Yellow VLAN 20 added: Name: VLAN_Yellow SW(vlan)#exit //exit 명령어를 사용. ctrl + z로 나올 경우 APPLY completed. vlan 설정이 변경되지 않으니 주의!! Exiting....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쓰레드 (0) | 2017.01.19 |
---|---|
안드로이드 레이아웃 (0) | 2017.01.11 |
Routing Protocol (0) | 2016.12.28 |
Switch 와 Route 의 차이 (0) | 2016.12.21 |
Paros 프록시로 웹 취약성 분석하기 (0) | 2016.12.19 |